문제상황 전에 Desktop C드라이브를 초기화하고 다시 세팅을 하려고 하는데 edge로 pdf파일이 열리지 않았다. 결론 1. 윈도우에서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들어간다. 아니면 윈도우+r -> regedit을 입력한다. 2. Content Type의 경로가 application/haansoftpdf로 되어있었다. 아마 한컴 오피스를 설치하고 바뀐 것 같다. 이를 application/pdf로 수정한다. 3. 변경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pdf 파일을 edge로 볼 수 있다. 시도 log 1. edge를 초기화 시켜보았다 (실패) 2.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Content Type을 변경해준다 (해결) 출처 https://www.hwani.xyz/entry/PDF%ED%8C%8C%EC%9D%BC-%EC%95%..
1. 압축하기 7z a test.zip test 2. 압축 풀기 !7z x test.zip -ohi 3. 옵션 a : add, 압축하기 d : delete e : extract l : list t : Test u : update x : extract with full paths https://88240.tistory.com/27 7zip 압축방법 리눅스에서 압축하는 방법은 예전에 올린 exec(zip)과 exec(unzip) 방법이 있지만, 당연히 윈도우에서는 위와같은 방법이 먹히질않는다 그래서 찾아보니 7zip을 path로 연결만 하면 (하는 방법은 다음 88240.tistory.com https://araikuma.tistory.com/122 [Linux] 압축 파일 관리 - 7z 압축하기, 압축 풀..
https://www.acmicpc.net/problem/10870 10870번: 피보나치 수 5 피보나치 수는 0과 1로 시작한다. 0번째 피보나치 수는 0이고, 1번째 피보나치 수는 1이다. 그 다음 2번째 부터는 바로 앞 두 피보나치 수의 합이 된다. 이를 식으로 써보면 Fn = Fn-1 + Fn-2 (n ≥ 2)가 www.acmicpc.net 문제 피보나치 수는 0과 1로 시작한다. 0번째 피보나치 수는 0이고, 1번째 피보나치 수는 1이다. 그 다음 2번째 부터는 바로 앞 두 피보나치 수의 합이 된다. 이를 식으로 써보면 Fn = Fn-1 + Fn-2 (n ≥ 2)가 된다. n=17일때 까지 피보나치 수를 써보면 다음과 같다. 0, 1, 1, 2, 3, 5, 8, 13, 21, 34, 55, 8..
Transfer Learning (전이학습) 성능이 좋은 딥러닝 모델을 만드는 최고의 방법은 바로 많은 수의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다. 하지만 데이터의 수가 많지 않거나 데이터를 확보하는데 많은 비용이 드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Transfer Learning(전이학습)을 이용한다. 전이학습이란, 특정 분야에서 학습된 신경망의 일부 능력을 유사하거나 전혀 새로운 분야에서 사용되는 신경망의 학습에 이용하는 방법이다. 전이학습은 학습 데이터의 수가 적을 때 효과적이며, 전이학습 없이 학습할 때보다 훨씬 높은 정확도와 더 빠른 학습 속도를 제공한다. 전이학습에서 이용되는 학습된 신경망을 pretrained model이라고 부르며 대표적으로 ImageNet, ResNet, gooGleNe..
문제 상황 C언어로 코딩하다가 다음과 같은 어려움에 봉착했다. 해결방법 scanf_s에서 %s를 사용하려면 입력받을 변수의 메모리 크기를 지정해주어야 한다. ex) scanf_s("%s", words, 30); 결과 해결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