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예외
- 프랜드함수
- 백준
- 재귀함수
- 이클립스
- acmicpc
- equals프레임워크
- OOP
- 쓰레드
- 조작자
- 알고리즘
- 구조체배열
- Operator
- 배열
- 객체지향
- Java
- 수찾기
- 자바
- 교환학생일지
- 코딩
- 무작위 변수
- iomanip
- Eclipse
- 스캐너
- C++
- 경제성공학
- 프로그래머스
- 상속
- 2267
- 데이터베이스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Requesting (1)
글쓰는공대생의 IT블로그

1. Requesting이란 무엇인가? 웹에서의 Requesting은 서버로 본인이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함. 흔히 Requesting의 방식에는 get, post, put, delete, patch라는 다섯가지의 방법이 존재하는데 이 중에서 중요한 get과 post방식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2. GET 방식 (데이터를 가져와서 보여준다, 가져옴의 의미) 두 방법 모두 "데이터를 전달한다"라는 목적에서는 일치하지만 전달하는 방식에서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먼저 get방식이다. get 방식인지, post 방식인지를 알려면 브라우저 창에 있는 URL을 보면 된다. get방식을 사용하게 되면 위에 있는 그림처럼 입력한 정보가 URL에 노출이 되게 된다. 따라서 입력된 정보가 다 드러나므로..
🖥️ 컴퓨터공학 🖥️/웹
2020. 5. 22. 19: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