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감가상각이란? 토지를 제외한 모든 유형자산은 시간 경과에 따른 효용가치 소멸로 경제적 효익제공의 기능을 점점 상실한다. 이러한 유형자산의 특징을 재무제표에 반영하지 않으면 신상 자산과 가치를 상실한 자산이 동일한 취급을 받을 수 있어, 수익의 과대계상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감가상각법을 활용한다.감가상각이란 사용기간 동안 자산의 취득 원가에서 잔존가치를 차감한 값(=감가상각 대상금액)을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배분하는 절차이다. 위 과정을 통해 유형자산을 사용하여 수익을 얻은 대가로서 비용처리를 하여 원가로 배분해준다. 02. 감가상각의 구성요소 감가상각 시, 결정요소는 크게 네 가지이다 : 취득원가, 잔존가치, 내용연수, 감가상각 방법.취득원가: 최초 시점에 유형자산을 구입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