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1 제시문 문제 1-1 (난이도 하) 잘한 점 => 역함수를 그림으로서 일대일함수라는 것을 증명하였다. 피드백 => 이 문제에서 원한건 오로지 f(x)에 대한 정보였다. 따라서 굳이 역함수를 도입하지 않아도 음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해 f'(x)>0이라는 것을 보이면 되는 문제였던 것 같다. 문제 1-2 (난이도 중) 잘한 점 => 없다. f(x+k)를 함수 f(x)를 x축으로 k만큼 움직이라는 의미로 파악한 점이 잘못되었다. x에 -k를 대입하여 f(0)과 g(-k)가 같음을 이용하여 그래프를 유추하면 된다. 피드백 => 역함수를 이용한다. g(x)는 f(x)가 x축으로 -k만큼 이동한 그래프이므로 g(x)의 역함수는 f(x)의 역함수가 y축으로 -k만큼 이동한 그래프이다. g(x)의 역함수를 k(x..
문제 1 => 기하와 벡터 단원이므로 제외. 문제 2 제시문 문제 2-1 잘한점 => 정답을 구하였다. 피드백 => 풀이가 너무 추상적인 듯 하다. f(x)에서 원점까지의 거리를 이용하는 문제이므로 점과 점 사이의 거리를 사용하는 것이 당연하다. (필연성을 항상 잘 생각하자!!) 따라서 거리의 제곱값인 g(x)를 이용한다. g(x)를 미분한 뒤, 어느 점을 중심으로 증가하였다가 감소하는지를 파악해야 하는 문제이다. g'(x)의 개형을 파악한 뒤, 0이 되는 부분을 찾는다. 문제 2-2 잘한 점 => 이것 역시 답을 구했지만 풀이가 추상적이다. 피드백 => 문제에서 구하라고 하는 것은 선분 PQ의 최솟값이다. 따라서 점 P의 좌표와 점 Q의 좌표를 구한 뒤, 점과 점 사이의 거리 공식을 이용해서 길이를 구..
문제 1 제시문 문제 1-1 잘한 점 => 잘했다. 뭐 어려운 문제도 아니었고 충분히 풀어낼 수 있어야 하는 문제이다. 문제 1-2 잘한 점 => 잘 모르겠다면 n=1부터 차례대로 대입을 하여 상황을 파악해야 한다. 그 점을 잘 이용한 해결 방법이다. 문제 1-3 잘한 점 => 이렇게 풀어도 되나? 라는 의문을 가지고 풀었던 문제이다. 이것 역시 문제 1-2 처럼 n=1부터 차례대로 대입을 하여 상황을 파악하였다. 피드백 => 계산실수를 하였다. 연습장에 한번 풀어보고 옮겨 적는 방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문제 2-1 잘한 점 => 자고로 수열은 수의 나열이기 때문에 n=1부터 차례대로 대입을 해야 한다. 이 점을 잘 이용하였다. 문제 2-2 피드백 => k=1부터 차례대로 대입하려고 하였다. 하지만 ..
문제 1-1 잘한점 => 미분을 이용하여 증감표를 그려서 접근하였다 (그래프의 증감 파악을 통해 크기비교) 피드백 => 그래프가 어떻게 생겼는지를 파악하지 못하였다. (알고보니 0과 π/2사이에 도함수가 0인 수가 또 있었다..!) 파악을 못할 때에는 위의 빨간색 피드백처럼 평균값 정리를 이용하자. 본래함수 도함수 문제 1-2 잘한점 => 그냥 잘했다. 기함수인지 우함수인지를 잘 알아냈는지를 물어보는 문제 문제 1-3 잘한점 => 1-2번 문제처럼 기함수, 우함수인지 -x를 대입하여 접근한 부분은 잘하였다. 피드백 => 계산실수를 하였다. 첫 번째! 적분을 잘못하였다. 두 번째! 두 번째 항 적분하는 것을 깜빡하였다. 문제 2-1 잘한점 => 없다. 그냥 없다. 약간 이항정리랑 비슷하다는 feel도 온다..
https://www.acmicpc.net/problem/1011 1011번: Fly me to the Alpha Centauri 우현이는 어린 시절, 지구 외의 다른 행성에서도 인류들이 살아갈 수 있는 미래가 오리라 믿었다. 그리고 그가 지구라는 세상에 발을 내려 놓은 지 23년이 지난 지금, 세계 최연소 ASNA 우주 비행�� www.acmicpc.net 문제 우현이는 어린 시절, 지구 외의 다른 행성에서도 인류들이 살아갈 수 있는 미래가 오리라 믿었다. 그리고 그가 지구라는 세상에 발을 내려 놓은 지 23년이 지난 지금, 세계 최연소 ASNA 우주 비행사가 되어 새로운 세계에 발을 내려 놓는 영광의 순간을 기다리고 있다. 그가 탑승하게 될 우주선은 Alpha Centauri라는 새로운 인류의 보금자..
https://www.acmicpc.net/problem/2775 2775번: 부녀회장이 될테야 첫 번째 줄에 Test case의 수 T가 주어진다. 그리고 각각의 케이스마다 입력으로 첫 번째 줄에 정수 k, 두 번째 줄에 정수 n이 주어진다. (1